로그인을 해주세요.

공지사항 알림마당

과기정통부, ICT 표준화 포럼 35개 선정해 15억 투입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KOROS 사무국
댓글 0건 조회 303회 작성일 24-09-06 14:43

본문

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글로벌 ICT 표준화에 전략적 대응 강화를 위해 ICT 표준화 포럼 35개를 선정해 15억원을 지원한다.

과기정통부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를 통해 지난 1월부터 약 40개의 표준화포럼을 신청·접수받아 시장 파급효과 및 활동계획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여 35개 표준화포럼을 선정하였다. 

올해는 4차 산업혁명 관련 ICT 표준화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지능형 ICT 핵심기술 분야(데이터, 네트워크, 인공지능)와 융합서비스 혁신산업 분야에서 총 7개 포럼을 새로 선정했다.

표준화포럼은 산학연 전문가가 기술, 서비스 분야별로 모여 국내 핵심기술의 국제표준화 및 시장에서 필요한 표준의 적시개발 등을 통해 국내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고자 구성한 표준 협의체이다. 선제적 표준화가 필요한 최신 ICT 기술 및 융합분야에 '인큐베이팅포럼'을 발굴하고, 향후 표준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해 출시하는 '표준개발·확산포럼'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.

지난해 표준포럼들은 사물인터넷 및 무선전력 충전 표준을 개발하는 OCF, WPC 등 글로벌 사실표준화기구에 약 300여건의 표준을 제안했고, 60여건의 제품을 개발해 산업경쟁력 확보에 기여했다. 국내 중소·벤처기업 900여개가 참여하는 표준화포럼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중소기업의 표준개발 참여 및 표준특허 보유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.

우리나라는 지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ICT 표준화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, ICT 핵심기술이 전산업 분야에 활용되는 기술-산업 간 융합이 확산되면서 ICT 중소기업의 참여가 더 중요해지고 있다. 특히, 국가간 무역기술장벽(WTO·TBT)체재에서는 표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, 국내 기술의 국제 표준화를 통해 표준을 선점하고,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.

용홍택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"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자원"이라고 강조하면서 "국내 중소기업이 ICT 표준화포럼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할 것"이라고 말했다.

monarch@fnnews.com 김만기 기자

파일명

*기관유형

*활용목적

*성명/직급

*소속

*이메일